알바 주휴수당 기준 계산법 알아보기

주휴수당에 대해 들어 보셨을 겁니다. 알바를 하거나 회사를 다닐때에 관심을 가지게 되는것이 바로 이 주휴수당입니다. 대부분의 회사는 알아서 계산이 되어 월급으로 받게 되지만, 알바의 경우 주휴수당 요구를 안 해서 잘 받지 못하는 경우가 더 많습니다.


주휴수당 기준

주휴수당이란 일주일 동안 15시간 이상 근무를 한 근로자에게 1일분의 유급 휴가를 주는 것입니다.

7일 근무에서 5일동안 15시간을 근무 했다면 1일은 무급 휴가 1일은 유급 휴가 입니다.


알바의 주휴수당 요구 조건

  • 알바의 경우 1주일 동안 정해진 날짜에 개근을 해야 하며 15시간 이상 근무를 했다면 동일하게 주휴수당을 받을 수 있습니다.
  • 하지만 지각을 하거나 조퇴를 할 경우 그 시간을 제하고 받게 됩니다.
  • 장기 또는 단기에 상관없이 1주일에 15시간 이상 근무를 했다면 받을 수 있는 것이 주휴 수당입니다.


주휴수당 계산법

일당으로 계산이 되며, 하루의 “소정근로시간 * 시간당 급여”로 계산이 됩니다.


알바의 경우 주휴수당 계산법

알바의 경우 주 40시간 미만 또는 40시간 이상 근로 했을 경우로 나뉘어 집니다.

  • 주 40시간 이상 근로 : 1주 총 근로시간(40시간)/5일 = 8시간(주휴수당 인정 시간)
    – 40시간 이상이면 일주일중에 쉬는 날 하루는 수당을 그대로 받을 수 있다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 주 40시간 미만 근로 : 1주 총 근로시간/5일 = 시급 * 일 평균 근로 시간
    – 1주일에 35시간 일을 했다면 일 평균 근로시간은 7시간이 되고, 7시간에 시급을 곱하면 됩니다.


주휴수당 계산 예시 40시간 이상

시급 9,620원을 받고, 주 5일 하루에 9시간 근무를 한다고 가정하겠습니다.

  • 1주일 근무시간 = 9시간 * 5일 = 45시간
  • 일평균 근로시간 = 9시간이지만 8시간으로 산정이 됩니다.
  • 주휴수당 : 9,620원 * 8시간 = 76,960 원

위와 같이 하루에 8시간 이상을 일하더라도 주휴수당은 8시간을 최대로 계산이 됩니다. 이것은 네이버에서 주휴수당을 계산해도 동일하게 나옵니다. 한번 보겠습니다.

네이버 사이트에서 주 40시간 이상 근무자의 주휴수당 계산값을 알 수 있도록 표시되어 있습니다.


주휴수당 계산 예시 40시간 미만

시급 9,620원을 받고, 주 3일 하루에 7시간 근무를 한다고 가정하겠습니다.

  • 1주일 근무시간 = 3일 * 7시간 = 21시간(15시간 이상 근로 조건 만족)
  • 일평균 근로시간 = 21시간 / 5일 = 4.2 시간
  • 주휴수당 : 9,620원 * 4.2시간 = 40,404원

네이버 주휴수당 계산기로 결과를 한번 보겠습니다.

네이버 사이트에서 주 40시간 미만 근무자의 주휴수당 계산값을 알 수 있도록 표시되어 있습니다.


위와 같이 계산을 해 볼수가 있습니다. 일단 일주일에 15시간 이상 근무를 하는지 여부가 중요하고 만약에 고용주가 주휴수당 지급을 하지 않는다면 신고를 할 수 있습니다.


주휴수당 미지급 신고하기

신고하는 법은 고용노동부 홈페이지에서 가능합니다.

고용노동부 -> 민원신청 -> 서식민원 -> 임금체불진정서 양식 작성

고용노동부 홈페이지에서 어떻게 선택을 하는지 표시되어 있습니다.
고용노동부 홈페이지에서 무엇을 찾아야 되는지 표시되어 있습니다.


위와 같이 임금체불자에 대한 신고를 할 수 있습니다. 만약에 접수가 되고 신고에 대한 확인을 진행하면서 미지급 사실이 인정이 된다면 고용주는 천만 원 이하의 벌금 또는 2년 이하의 징역형을 받게 됩니다.


지금까지 알바 주휴수당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제가 알바를 할 당시에는 이런 제도가 있는지도 몰랐고 받은 적도 없었는데, 그때 당시에는 사업주도 잘 몰랐었습니다. 하지만 지금은 지급을 안 할 경우 처벌은 물론이고, 위와 같이 홈페이지에서 신고를 편하게 할 수 있습니다.

자신의 근로에 대한 보상을 꼭 받으시기 바랍니다. 그리고 주휴수당이 폐지된다는 이야기도 나오고 있지만, 아직 법 개정이나 관련된 법안 자체도 나온 것이 없기에 미리 걱정할 필요는 없습니다.

개정을 검토한다는 이야기만 나올 뿐 아직 아무것도 움직임이 없습니다. 개정이야 어떻게 되든 지금 현실에는 꼭 챙겨서 받는 것이 맞습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