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장인 부업 종합소득세 신고 이유

직장인 뿐만 아니라 많은 분들이 부업을 한다면 종합소득세에 관심이 많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결론적으로 말하자면 종합소득세 신고는 꼭 해야 하고 필요합니다. 종합소득세 신고를 해야 하는 이유를 설명드리겠습니다.


종합소득세란?


종합소득세라는 것은 직장인 기준으로 다니고 있는 회사의 근로소득 이외에 수입이 발생하면 세금 신고를 하는 종합소득세를 말합니다.

작년 1월~12월 기준으로 근로소득 + 추가소득을 합산하여 종합소득세를 신고 하는 건데 세금을 오히려 환급 받는 경우도 있기는 합니다.

직장인 분들이 잘 모르고 있다가 종합소득세 신고를 안하게 되면 가산세가 적용됩니다. 이렇기 때문에 꼭 신고를 해야 합니다.


종합소득세 신고 안해도 되는 경우


반면에 신고를 안해도 되는 경우가 있습니다. 근로소득 이외의 나머지 소득이 300만 원 미만이라면 신고를 안해도 됩니다.

국세청에서 추가 소득을 위한 필요 경비를 인정해 주는데 그 금액이 300만 원 이기 때문입니다.

그런데 본인의 추가 소득이 2023년도에 300만 원 미만이어서 신고를 안했는데, 2024년에도 300만 원 미만일 경우 사업자등록을 해서 신고를 해야 합니다.

해마다 300만 원 미만으로 추가 소득이 생기면 내야 할 세금은 없지만 반드시 신고는 해야 하는 겁니다. 2023년도에 300만 원 미만으로 신고를 안하고, 2024년도에 추가 소득이 없다면 신고를 안해도 되기는 합니다.


직장인 부업 종합소득세 신고해야 하는 이유


보통 부업을 하시면 한 해에만 해보고 안하는 경우도 있겠지만, 2~3년 정도는 꾸준히 하실 거라 생각 됩니다. 이럴 경우에 연속적으로 추가 소득이 발생하기 때문에 사업자등록을 해서 종합소득세 신고 기간에 신고를 하면 됩니다.


직장인의 사업자등록은 문제가 없는지?


문제가 없습니다. 직장인도 사업자등록을 하고 1인 운영체제로 사업장을 유지 한다면, 문제가 될 것은 없습니다. 혹시나 회사에서 알게 되지 않을까 걱정도 하실테지만, 회사에서는 이를 알 수 있는 방법도 없고, 그렇게 회사원들의 개인사에 관심이 없습니다.

물론 회사의 내규 사항에 겸업금지 조항이 있을 수도 있습니다. 그런데 이는 대부분 회사의 물건을 팔거나, 회사의 일을 함에 지장을 초래할 정도가 아니면 크게 관여를 하지 않습니다.

그리고 직장에 다니면서 스마트스토어 같은 온라인 물건 판매를 하거나, 부동산 임대업을 하시는 분들은 세금계산서를 발행해야 하는 경우도 있기 떄문에 사업자등록은 필수 입니다.


온라인 부업도 사업자등록이 필요한지?


온라인 부업도 마찬가지로 수입에 따라 필요한 경우가 있고, 없는 경우가 있는데 해마다 추가 소득이 있다면 사업자등록을 해야 합니다.

이는 국세청에도 나와있는 내용입니다.

애드센스 같은 외화 벌이의 경우에도 종합소득세를 신고해야 하고, 해마다 수익이 발생하니 사업자등록을 해야 합니다.


사업자등록 주소는?


저도 사업자등록을 해놨는데, 자기 집의 주소로 해도 됩니다. 꼭 사무실을 얻어서 해야 하는 것은 아니므로 걱정하지 말고 주기적인 수익이 있으신 분들은 미리 해 두는 것도 나쁘지 않습니다.


지금까지 직장인 부업의 소득이 있는경우 종합소득세를 신고하야 하는 이유에 대해 알아 보았습니다. 소득이 적으면 안 해도 되는지 알았지만 해마다 발생한다면 신고를 해야 하니 미리 준비해 보시기 바랍니다. 감사합니다.